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read()함수
- 팩토리얼재귀
- 프로그래머스
- 자바함수
- 변수의 초기화
- 오버로딩
- 기타제어자
- 자바switch문
- 겟셋함수
- 변수명명규칙
- 누승재귀
- 자바기타제어자
- 중첩for문
- 자바제어문
- 클래스배열
- 오라클
- 자바수우미양가
- 자바상수
- 자바접근지정자
- 자바별찍기
- 자바연산자
- 자바자료형
- 효율적인연산
- SQL
- 자바클래스
- 자바실행방법
- 자바if문
- 자바형식
- 연산자우선순위
- 반복문라벨
- Today
- Total
목록전체 글 (53)
h-i-s-t-o-r-y
▷ 1~10 사이 정수 합 int sum = 0; for (int i = 1; i
▷ 제어문 ? 프로그램의 흐름(flow)을 바꾸어 주는 문장 조건문 - if문, if ~ else문 분기문 - switch문 반복문 - for문 , foreach문 조건반복문 - while문, do~while문 기타 - break문, continue문 ▷ 조건문 - if문 if (condition) { 조건식이 참이면 수행함 } int n = 11; if(n%2 == 0) { // 짝수라면 짝수 출력 - 2로 나누어 떨어지는 정수 2n System.out.println("even number"); } if(n%2 == 1) { // 홀수라면 홀수 출력 - 2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정수 2n+1 System.out.println("odd number"); } // ** 0은 짝수도 홀수도 아니다. ▷ 분..
▷ 연산자의 정의 연산자 (operator) :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 피연산자 (operand) : 연산자의 작업대상 (변수, 상수, 리터럴, 수식 ▷ 연산자의 [기능별] 분류 > 산술연산자 // + - * / % > System.out.println(3 + 5); int x=3, y=5; System.out.println(x - y); System.out.println(3 * 5); // 15 System.out.println(3 / 5); // 0 int/int : 결과는 몫이 나옴 System.out.println(3.0/5.0); // 0.6 double/double : 나눈값이 제대로 나옴 System.out.println(3 % 5); // 3 % : 나머지 연산자 // The operator..
▷ BufferedReader > 입력받은 문자열 출력 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 import java.io.IOException; 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 System.out.print("> 이름을 입력하세요 ? "); 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 new InputStreamReader( System.in ) ); // Unhandled exception type IOException // br.readLine() 함수를 사용하려면 IOException 예외 처리해야 한다고만 알고 있을 것.. (나중에) String name = br.readLine(); System.out.printf("> 이름..
▷ 진법 변환 10진수 : 0 1 2 3 4 5 6 7 8 9 2진수 : 0 1 8진수 : 0 1 2 3 4 5 6 7 (2진수를 3칸씩 자름) 16진수 :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(2진수를 4칸씩 자름) > 해당 진법으로 출력 // flag # : 해당 진법의 표시형식으로 출력 int i = 10; System.out.printf("%d\n", i); //10 System.out.printf("%#o\n", i); //012 System.out.printf("%#x\n", i); //0xa System.out.printf("%d\\n", x); //10진수 System.out.printf("%o\\n", x); //8진수 System.out.printf("%x\\n",..
▷ 표준 출력 함수 > print() 함수 : 개행을 하지 않는 출력 함수 > printf() 함수 : 출력형식을 지정하여 사용하는 출력 함수 String name = ""; int age = 20; char grade = 'A'; System.out.printf("이름은 \"%s\" 이고, 나이는 %d 이고, 학점은 '%c' 이고, 몸무게는 %f 입니다.", name, age, grade, 65.7); // 결과: 이름은 "홍길동" 이고, 나이는 20 이고, 학점은 'A' 이고, 몸무게는 65.700000 입니다. > println() 함수 기본 출력문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. print / printf 함수와 다르게 명령이 종결되면 줄바꿈(개행)한다. System.out.print("홍길동" + "\..